본문 바로가기
미국증시 시황

5.28. 미국증시 시황 – 기술주 조정 속 나스닥 하락, 엔비디아 실적 기대

by 이슈 캐쳐-Issue Catcher 2025. 5. 29.
반응형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는 나스닥, 다우, S&P500이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 마감했으며, 반면 한국 증시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AI 반도체 흐름, 원자재 시황,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한국 증시 수급 흐름을 중심으로 해설합니다.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 섹터별 히트맵 – Nasdaq 및 S&P500 기준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 섹터별 히트맵 – Nasdaq 및 S&P500 기준, 출처 : Finviz.com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조정세로 하락 마감하며 투자심리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AI 반도체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했고, 한국 증시는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미국 3대 지수 흐름, 섹터별 시황, M7 주요 기업 분석, 원자재 가격 변동, 그리고 한국 증시 수급과 향후 전망까지 짚어봅니다.

📉 미국 증시 3대 지수 하락 – 실적 발표 앞둔 경계감 확대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 주요 지수 마감 요약 (다우, 나스닥,S&P500 포함), 출처 : Finviz.com

  • 다우지수: -244.95pt (-0.58%) → 42,098.7
  • 나스닥지수: -98.23pt (-0.51%) → 19,100.9
  • S&P500: -32.99pt (-0.56%) → 5,888.55

2025년 5월 28일(수) 미국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회의록 공개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둔 경계 심리가 작용하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3대 지수 모두 오후 들어 낙폭을 확대하며 저점에 가까운 수준에서 마무리됐습니다. 특히 최근 랠리를 이끌었던 기술주와 반도체 관련주의 일부 조정이 지수 약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날 증시는 시가 대비 한때 반등을 시도했지만, 오후 들어 매도세가 재차 확대되며 전반적인 리스크 오프로 흐름이 전환됐습니다. 특히 미 국채금리 재상승 우려와 함께, Fed 내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 기조가 확인될 수 있다는 관측이 증시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상승 종목은 2,244개였고 하락 종목은 7,449개로, 하락 종목 비율이 전체의 76% 이상을 차지하며 전반적인 약세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뉴욕 증시의 상대 강도는 여전히 높지만, 수익 실현 매물과 불확실성 회피 심리가 단기 조정의 빌미가 된 모습입니다.

-관련 기사 요약-

1. Wall St edges lower as markets await Nvidia earnings

  • 미국 증시,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하락 마감
  • 10개 S&P500 업종 중 9개가 하락하며 광범위한 약세가 나타남
  • 투자자들은 AI 수요와 실적 전망 사이에서 균형을 모색하는 중

2. Stocks fall as investors await Nvidia earnings report

  • 기술주 중심 하락, 나스닥 0.5% 하락 마감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전 차익 실현 매물 증가
  • 시장, 연준의 통화 정책 스탠스와 AI 성장성 간 균형 주시

📊 섹터별 흐름 – 반도체 일부 강세, 기술주 혼조세

5월 28일 미국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으며, 섹터별로는 정보기술(Technology), 소비재(Consumer Cyclical), 헬스케어(Healthcare)가 두드러진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전날 강세를 주도했던 기술주는 혼조세를 나타냈고, 특히 대형주는 하락이 우세했습니다.

  • 기술주: MSFT -0.72%, AAPL +0.10%, NVDA -0.51% 혼조
  • 소비재: TSLA -1.65%, AMZN -0.63% 하락세 지속
  • 반도체: AVGO +1.60%, TXN +0.50% 상승, AMD -1.48% 급락
  • 헬스케어: MRK -1.83%, ABBV -1.42%, LLY -0.80% 전반 약세
  • 커뮤니케이션: META +0.20%, GOOGL -0.31%로 대형 플랫폼주는 등락 혼재

히트맵 상에서 브로드컴(AVGO)의 상승세가 돋보였으며, 반도체 내 일부 종목은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TSLA, AMD, IBM, BRK-B 등 주요 종목들은 낙폭을 키우며 시장 약세에 동참했습니다. 전반적으로 AI 기대주 일부 강세와 고평가주 조정이 병존하는 장세였습니다.

💼 Magnificent 7 시황 정리 – 혼조 흐름, 테슬라 약세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 매그니피센트7 요약
2025년 5월 28일 미국 증시 매그니피센트7 요약, 출처 : Companiesmarketcap

  • 마이크로소프트(MSFT): -0.72% 하락, 3.39조 달러 유지
  • 엔비디아(NVDA): -0.51% 조정, 실적 발표 앞두고 관망세
  • 애플(AAPL): +0.10% 소폭 반등
  • 아마존(AMZN): -0.63% 하락, 소비재 섹터 전반 부진 영향
  • 알파벳(GOOGL): -0.34%, 광고주 수요 둔화 우려
  • 메타(META): +0.20%, 리바운드 지속
  • 테슬라(TSLA): -1.65%, 낙폭 확대되며 약세 주도

Magnificent 7 종목들은 전체적으로 혼조세를 보이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했습니다. 테슬라는 1.6% 하락하며 대형주 중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으며, 엔비디아는 실적 발표를 앞두고 차익 실현 물량이 출회됐습니다. 반면 메타와 애플은 소폭 반등하며 일부 방어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M7 종목 간 시가총액 순위는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지만, 투자자들은 AI 실적 모멘텀과 고평가 부담 사이에서 선택적 매매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 AI 반도체 기대감 –  나스닥 선물 상승 흐름

5월 28일 기준 나스닥 100 선물(6월물)은 전일 대비 +0.30% 상승한 21,525pt로 마감 전 움직임을 보여주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이는 전일 약세 마감에도 불구하고 AI 반도체 실적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날 선물 지수는 단기적으로 21,300~21,500 구간에서 박스권 돌파 시도가 이어지는 모습이며, 전반적인 기술주 심리 회복 여부가 향후 방향성을 결정할 전망입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전후로 나스닥 100 지수의 추가 랠리 또는 되돌림 여부가 판가름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결국 AI 반도체 업종의 지속적인 실적 기대와 기업 수요 확대가 시장 심리를 지지하고 있으며, 브로드컴을 비롯한 대형주 흐름은 단기적으로 나스닥 선물 지수의 추세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그널로 작용할 것입니다.

🛢 5월 28일 원자재 시장 시황 – 금·구리 하락, 천연가스 급락

2025년 5월 28일 금 선물 가격 변화


2025년 5월 28일 구리 선물 가격 변화
2025년 5월 28일 천연가스 선물 가격 변화
2025년 5월 28일 원유 선물 가격 변화

2025 5 28일 주요 원자재 선물 가격 변화, 출처 : Investing.com

 

- 금 선물(8월물)은 전일 대비 -0.48% 하락한 3,312.2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견조하게 발표되며 안전자산 선호가 다소 약화되었고, 달러 강세가 금 가격을 압박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3,350달러 선에서 저항을 받으며 이틀 연속 약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구리 선물(7월물)-1.17% 하락해 4.6845달러에 마감되었습니다. 최근 중국 산업생산 관련 지표 부진과 함께 원자재 수요 둔화 우려가 다시 부각되며, 산업금속 전반에 매도 압력이 가해졌습니다. 4.70선을 하회하며 단기 조정 국면에 진입한 모습입니다.

- 천연가스 선물(7월물)-5.56% 급락한 3.536달러에 마감되며 하루 만에 큰 폭의 조정을 받았습니다. 최근 기온 상승세와 수요 급증 기대가 선반영된 이후, 차익실현 매물과 재고 증가 소식이 급락을 유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적으로도 3.6선 붕괴로 단기 지지선 이탈이 우려됩니다.

- WTI유 선물(7월물)+1.63% 상승한 61.88달러로 강세 마감했습니다. 원유 재고 감소 기대와 OPEC+의 감산 지속 의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고, 최근 하락세에 따른 기술적 반등도 유입됐습니다. 60달러 초반대에서 재차 바닥을 확인하며 반등 시도에 나선 모습입니다.

🇰🇷 5월 28일 한국 증시 마감 및 5월 29일 전망 – 외국인 매수 속 기술주 상승 탄력 유지될까?

2025년 5월 28일 코스피 지수 요약


2025년 5월 28일 코스닥 지수 요약

2025 5 28일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요약, 출처 : Finance.naver.com

 

5월 28일 한국 증시는 외국인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1.25% 상승한 2,670.15pt로 마감되며 이틀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고, 코스닥 역시 +0.23% 오른 728.79pt를 기록했습니다. 코스피200 지수는 +1.45%로 대형주 중심의 뚜렷한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수급 측면에서는 외국인 +2,999억 원, 기관 +7,438억 원 순매수가 유입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고, 개인은 -9,907억 원 순매도로 차익 실현에 나섰습니다. 특히 AI·반도체 섹터와 자동차·2차전지 섹터에서 수급 집중이 관찰되었습니다.

프로그램 매매는 전체 +902억 원 순매수로, 차익 매수보다는 비차익 매수가 시장의 추세적 강세를 뒷받침했습니다. 상승 종목 수는 코스피 579개, 코스닥 995개로 광범위한 반등이 이뤄졌습니다.

🔮 5월 29일 한국 증시 전망 – 미국발 변동성 반영, AI 반도체 모멘텀 지속 여부 주목

미국 증시는 5월 28일 Fed 회의록과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에 하락 마감했습니다. 나스닥(-0.51%), S&P500(-0.56%), 다우(-0.58%) 모두 약세를 기록했으며, 기술주 조정이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나스닥 100 선물은 장 마감 이후 반등하며 21,525pt (+0.30%)까지 올라섰고, 이는 AI 관련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함을 의미합니다. 브로드컴(AVGO)의 강세와 엔비디아 실적 기대가 한국 반도체 및 IT 대형주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투자 전략 요약

  • 코스피: 외국인 수급 우위가 지속되면 2,680~2,700선 재돌파 가능성
  • 코스닥: 중소형 성장주보다 반도체·IT 대형주 중심 흐름 강화 예상
  • 주목 업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2차전지, AI 반도체, 자동차 부품주
  • 리스크 요인: 미국 실적 발표 이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 대비 필요

결론적으로 5월 29일 한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긍정적 반응과 외국인 수급 지속 여부에 따라 상승 탄력이 이어질 수 있는 하루가 될 전망입니다.

✅ 요약 정리 (3줄)

  • 5월 28일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 조정, 나스닥·S&P500 동반 하락.
  • 한국 증시는 외국인·기관 동반 매수에 힘입어 코스피 1.25% 급등 마감.
  • 5월 29일 한국장, AI·반도체 기대감 속 외국인 수급 지속 여부가 관건.

💭 이 글을 읽고 떠오르는 누군가가 있다면, 📤 함께 공유해 보세요.

✨ 그리고 앞으로의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 공감 한 번,💬 댓글과 함께 캐치로그-CatchLog ’을 📩 구독해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에 앞서 본인의 기준과 판단을 함께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 관련 글 링크 -

5월 27일 미국·한국 증시 마감 요약 – 기술주 반등 주도, 나스닥 급등 2.47%

 

5월 27일 미국·한국 증시 마감 요약 – 기술주 반등 주도, 나스닥 급등 2.47%

2025년 5월 27일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강한 반등세를 보이며, 나스닥과 다우, S&P500 모두 2% 내외 상승 마감했습니다. 애플, 엔비디아 등 대형 IT주가 랠리를 주도했고, 연준 금리 불확실성 완

catchlog.lumiralo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