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어느덧 5월의 마지막 주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번 주는 미국 증시에도 중요한 일정이 많아 투자자라면 꼭 체크해야 할 한 주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5월 26일부터 5월 30일까지의 미국 증시 휴장 일정과 주요 경제지표, 그리고 대형주 실적 발표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5월 26일(월) – 메모리얼 데이, 미국 증시 휴장
이번 주 월요일은 미국의 대표적인 공휴일인 메모리얼 데이(Memorial Day)입니다. 이날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 등 모든 주요 거래소가 휴장합니다. 국내 투자자분들도 미국 주식 거래가 불가하니 미리 참고하셔서 투자 계획에 반영하시길 바랍니다.
2. 5월 27일(화) – CB 소비자신뢰지수, 홈디포 실적 발표
5월 27일 화요일부터 미국 증시가 다시 개장합니다. 이날은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심리를 보여주는 CB(Conference Board) 소비자신뢰지수가 발표됩니다.
CB 소비자신뢰지수는 소비자들이 현재와 미래의 경제 상황을 어떻게 전망하는지 반영하는 대표적인 경기 선행지표로, 결과에 따라 시장의 단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같은 날 미국 대표 유통업체인 홈디포(Home Depot)의 실적 발표도 예정되어 있어, 관련 업종 투자자라면 주목해야 할 이벤트입니다.
2025년 CB 소비자신뢰지수 월별 추이
월 | 소비자신뢰지수 | 전월대비 | 비고 |
---|---|---|---|
1월 | 104.1 | - | 연초 강한 소비심리 |
2월 | 98.3 | -5.8 | 인플레이션 우려로 하락 |
3월 | 92.9 | -5.4 | 경기둔화 우려 지속 |
4월 | 86.0 | -6.9 | 팬데믹 이후 최저치 |
5월(예측) | 82.0 | -4.0 | 심리 추가 악화 예상 |
- 1월 104.1에서 5월 예측치 82.0까지 5개월 연속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4월 수치는 팬데믹 이후 최저치였으며, 5월에도 소비심리 추가 악화가 전망됩니다.
CB 소비자신뢰지수의 하락은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므로, 발표 결과에 따라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홈디포 실적 역시 소비 관련 업종의 투자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투자자라면 이날 발표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3. 5월 28일(수) – 원유재고, 신규주택판매, 엔비디아·세일즈포스 실적 발표
5월 28일 수요일에는 미국의 원유재고 발표와 신규주택판매 지표가 공개됩니다.
원유재고는 에너지 섹터에, 신규주택판매는 부동산 및 건설 관련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AI와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엔비디아(NVIDIA)와 CRM 분야 글로벌 1위 세일즈포스(Salesforce) 등 대형 기술주의 실적 발표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기술주 투자자라면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날입니다.
엔비디아(NVIDIA) & 세일즈포스(Salesforce) 주요 재무실적 비교
업체 | 2024.12월 매출 (전년동기) |
순이익 (2024.12월, 전년동기) |
2025.1Q 예상 매출 (전년동기) |
2025.1Q 예상 순이익 (전년동기) |
비고 |
---|---|---|---|---|---|
엔비디아 | $22.1B (전년동기 $6.05B, +265%) |
$12.29B (전년동기 $1.41B, +771%) |
$24.0B (전년동기 $14.5B, +66%) |
$13.0B (예상치) (전년동기 $7.1B, +83%) |
AI·데이터센터 수요 폭발, 사상 최대 실적 경신 지속 |
세일즈포스 | $9.29B (전년동기 $8.38B, +11%) |
$1.45B (전년동기 -$0.098B, 흑자전환) |
$9.13B (전년동기 $8.25B, +11%) |
$1.53B (전년동기 $0.199B, +669%) |
견조한 성장세, 현금흐름 개선, 배당 신설 등 안정적 실적 |
- 엔비디아는 AI·데이터센터 수요 폭발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과 순이익 모두 2~7배 이상 급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세일즈포스는 꾸준한 매출 성장과 흑자 전환, 현금흐름 개선, 배당 신설 등 안정적인 실적이 특징입니다.수요 폭발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2025년 1분기에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두 기업 모두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기술주 투자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 5월 29일(목) – 1분기 GDP, 실업수당, PCE 등 굵직한 경제지표
목요일에는 1분기 GDP 2차 추정치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PCE 가격지수 등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지표들이 한꺼번에 발표됩니다. GDP 성장률은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며,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고용시장 상황을 보여줍니다. PCE 가격지수는 연준이 주목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로,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월 30일(금) – 근원 PCE 물가지수 발표
5월 30일 금요일에는 2025년 4월기준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발표됩니다.
이 지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가장 중요하게 보는 인플레이션 지표로, 발표 결과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습니다.
특히, 근원 PCE는 식료품과 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항목을 제외해 미국의 기초적인 물가상승률을 가장 잘 보여줍니다.
투자자라면 이날 발표되는 수치에 각별히 주목해야 합니다.
2025년 근원 PCE 물가지수(전년동월대비) 월별 추이
구분 | 근원 PCE 물가지수 (전년동월대비, %) |
전월대비 | 비고 |
---|---|---|---|
2024년 12월 | +2.9 | - | 연말에도 2%대 후반 유지 |
2025년 1월 | +2.7 | -0.2 | 점진적 하락세 시작 |
2025년 2월 | +3.0 | +0.3 | 일시적 반등 |
2025년 3월 | +2.6 | -0.4 | 최근 1년 중 최저치 |
2025년 4월 (예상) | +2.6 | 0.0 | 시장 컨센서스 기준 |
- 근원 PCE 물가지수는 연초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하며, 3월에는 +2.6%로 최근 1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4월과도 시장은 추가 완화(2.5~2.6%)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근원 PCE가 연준의 목표치(2%)에 가까워질수록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6. 이번 주 투자 전략은?
이번 주는 월요일 휴장 이후, 화요일부터 경제지표와 대형주 실적 발표가 몰려 있습니다. 특히 5월 29일과 30일에는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굵직한 이벤트가 집중되어 있어,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은 각종 지표와 실적 발표 일정을 미리 확인하고, 보유 종목이나 관심 종목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미국 증시 일정과 주요 이벤트를 미리 파악해두면, 예기치 못한 시장 변동에도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도 성공적인 투자 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일정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8. 미국증시 시황 – 기술주 조정 속 나스닥 하락, 엔비디아 실적 기대 (5) | 2025.05.29 |
---|---|
5월 27일 미국·한국 증시 마감 요약 – 기술주 반등 주도, 나스닥 급등 2.47% (3) | 2025.05.28 |
2025년 5월 23일 미국 증시 – 기술주 급락과 트럼프 원전 지원 이슈 속 하락 마감 (6) | 2025.05.24 |
2025년 5월 22일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반등, 금리 불안 속 혼조 (6) | 2025.05.23 |
2025년 5월 21일 미국 증시 – 다우 800pt 폭락, 금리 공포에 기술주 무너져 (3)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