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s
2025년 5월 23일(현지 기준)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로 인해 다우, 나스닥, S&P500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전일 발표된 정치적 발언과 채권 시장 불안은 지속됐고, 원자력 관련주는 트럼프의 지원 발언에 상승하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 미국 주요 지수 하락 – 기술주 중심 조정
- 다우지수: -256.02pt (-0.61%) → 41,603.1
- 나스닥지수: -188.53pt (-1.00%) → 18,737.2
- S&P500: -39.19pt (-0.67%) → 5,802.82
- 러셀2000: -0.64pt (-0.31%) → 202.66
📰 주요 기사 요약
📌 CNBC | 기술주 조정에 하락 마감: Stock market closes lower amid tech slide
기술주가 대거 하락하며 시장 전체를 압박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국채금리의 지속 상승과 재정 불안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S&P500과 나스닥 모두 이번 주 초반 랠리를 대부분 반납했습니다.
📌 CNBC | 트럼프, 원전 산업 지원 행정명령 추진: Nuclear stocks rally on Trump support
트럼프 전 대통령이 원전 산업 지원 행정명령을 추진한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에 따라 원전 관련 기업(NEE, DUK 등) 주가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정책 기대감이 일부 섹터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시장 전반의 하락 흐름은 피하지 못했습니다.
📉 Magnificent 7 마감 시황 – 기술주 전반 하락
2025년 5월 23일, 미국 증시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으로 불리는 주요 기술주들이 일제히 조정을 받았습니다.
종목명 (티커) | 종가 (USD) | 전일 대비 (%) |
---|---|---|
애플 (AAPL) | 195.27 | -3.02% |
마이크로소프트 (MSFT) | 450.18 | -1.03% |
엔비디아 (NVDA) | 131.29 | -1.16% |
아마존 (AMZN) | 200.99 | -1.04% |
알파벳 (GOOGL) | 169.59 | -1.39% |
메타 (META) | 627.06 | -1.49% |
테슬라 (TSLA) | 339.34 | -0.50% |
📰 관련 이슈 요약
- 애플(AAPL):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외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에 최소 25%의 관세 부과” 발언. 인도 생산 확대 계획에 직접적 압박. [기사 보기]
- 전체 시장: 트럼프의 관세 위협 여파로 다우지수 -300pt 하락. 기술주 중심의 약세 장 형성. [기사 보기]
- 기술주 전반: M7 전 종목 하락.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우세.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대두. [기사 보기]
📉 나스닥 100 선물 - 기술주 불안, 박스권 하단 테스트
2025년 5월 23일 기준, 나스닥 100 선물은 20,975.00pt로 마감하며 -203.25pt(-0.96%) 하락했습니다.
이날 선물 지수는 전일 대비 약 1% 가까운 하락세를 보이며, 최근 상승세의 박스권 하단(21,000선) 붕괴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기술주 전반의 하락 압력이 선물 시장에도 그대로 반영되었으며, 특히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등 핵심 종목의 낙폭이 컸습니다.
차트상으로는 21,000선 지지를 다시금 테스트 중이며, 이 구간을 이탈할 경우 20,700선까지 단기 조정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반대로 21,000선에서 지지가 확인된다면, 단기 반등 시도 역시 기대해볼 수 있는 위치입니다.
※ 이미지 출처: investing.com – 나스닥 100 선물 (2025년 6월물)
🛢 5월 23일 원자재 시장 요약 – 구리 강세, 금·천연가스 동반 상승
![]() |
![]() |
![]() |
![]() |
2025년 5월 23일 주요 원자재 현황, 출처 : Investing.com
- 구리 선물 (7월물): +3.36% 상승 → $4.8365
중국의 수요 회복 기대와 칠레·페루 광산 물류 차질로 공급 우려가 확대되며 3% 넘게 급등. - 금 선물 (6월물): +2.15% 상승 → $3,365.80
미국 재정 불안과 국채금리 상승 가능성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되며 금 가격이 상승세 유지.[로이터 기사 보기] - 천연가스 선물 (6월물): +2.49% 상승 → $3.334
미국 내 이상 고온 예보로 인한 냉방 수요 증가와 재고 부족 우려가 겹치며 가격 급등.[Natural Gas Intel 기사 보기] - WTI유 선물 (7월물): +0.48% 상승 → $60.93
OPEC+의 감산 기조 유지 기대가 상승세를 견인했으나, 글로벌 수요 부진 전망으로 상승폭은 제한됨.[로이터 기사 보기]
🇰🇷 5월 23일 한국 증시 마감 – 외국인·기관 매도 속 개인 매수세 방어
![]() |
![]() |
2025년 5월 23일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요약 , 출처 : finance.naver.com
📊 지수 흐름 요약 – 약보합 속 낙폭 축소
5월 23일 코스피는 2,592.09pt (-0.06%), 코스닥은 715.98pt (-0.24%)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증시 하락의 영향으로 장 초반부터 약세 출발했지만, 오후 들어 일부 반도체·IT주 중심의 저가 매수 유입으로 낙폭은 점차 축소됐습니다.
📌 수급 동향 – 외국인·기관 매도, 개인이 순매수
수급 면에서는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585억, 기관 -1,026억 규모의 매도세가 집중됐습니다. 반면 개인은 1,347억 원 순매수로 지수를 방어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코스닥 역시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가 있었지만, 개인은 꾸준한 매수세를 이어갔습니다.
📈 프로그램 매매 – 차익 매도 우위
프로그램 매매는 전체적으로 순매도 661억 원이 나타났으며, 차익거래에서는 -687억으로 매도 우위, 비차익거래에서는 +1,348억으로 매수세가 유입됐습니다. 이는 현물과 선물의 괴리 차이를 활용한 매매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투자 심리 – 단기 바닥 다지기 시도
글로벌 긴축 우려와 미 정치 리스크 속에서도 한국 증시는 상대적 강세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반도체 섹터와 2차전지 관련주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작용했으며, 특히 5월 23일 밤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대한 관망 심리가 투자자들 사이에 확산됐습니다.
🔮 5월 26일 한국 증시 전망 – 관망 속 반등 시도, 기술주 주목
📌 글로벌 흐름 반영 – 미 증시 약세 영향은 제한적
5월 23일(현지 기준) 미국 증시는 다우지수 -0.61%, 나스닥 -1.00%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전반에 걸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됐으며, 애플과 메타 등 주요 종목이 1~3%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국채금리 안정과 방위산업·원자재 섹터 선방으로 낙폭은 제한적인 수준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5월 26일(월요일) 한국 증시 역시 미 증시 하락 영향을 부분 반영하되, 하방 경직성을 보이며 제한적 조정에 머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반도체 중심 기술주 반등 시도
5월 24일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발표 결과에 따라 주말 동안 글로벌 투자심리가 변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기대 이상의 실적을 발표한다면 월요일 국내 반도체 및 AI 테마주에 반등 기회가 열릴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그리고 관련 장비주 흐름이 단기 방향성을 이끌 전망입니다.
✅ 요약 정리 (5줄 핵심)
- 미국 증시는 기술주 조정 여파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 (5.23).
- 애플 -3% 등 Magnificent 7 전반 하락, 트럼프 원전 정책 이슈로 관련주 강세.
- 나스닥 100 선물도 하락하며 기술주 부담 지속, 박스권 하단 테스트 중.
- 원자재 시장은 구리·금·천연가스 급등, 정치·기후·공급 요인 반영.
- 5월 26일 한국 증시는 제한적 조정 속 기술주 중심 반등 시도 가능.
💭 이 글을 읽고 떠오르는 누군가가 있다면, 📤 함께 공유해 보세요.
✨ 그리고 앞으로의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 공감 한 번,💬 댓글과 함께 ‘ 캐치로그-CatchLog ’을 📩 구독해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에 앞서 본인의 기준과 판단을 함께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 관련 글 링크 -
2025년 5월 22일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반등, 금리 불안 속 혼조
2025년 5월 22일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반등, 금리 불안 속 혼조
2025년 5월 22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은 소폭 상승한 반면, 다우와 S&P500은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정 지출 우려와 국채금리 불안이 시장을 압박했습니
catchlog.lumiralog.com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27일 미국·한국 증시 마감 요약 – 기술주 반등 주도, 나스닥 급등 2.47% (3) | 2025.05.28 |
---|---|
2025년 5월 마지막 주, 미국 증시 일정 완벽 정리 (3) | 2025.05.26 |
2025년 5월 22일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반등, 금리 불안 속 혼조 (6) | 2025.05.23 |
2025년 5월 21일 미국 증시 – 다우 800pt 폭락, 금리 공포에 기술주 무너져 (3) | 2025.05.22 |
2025년 5월 20일 미국 증시 – 기술주 조정, 랠리 숨 고르기 (6)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