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다우 -0.00%, 나스닥 -0.50%, S&P500 -0.27%로 혼조 마감했습니다. 장 초반 상승 출발했으나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반전했습니다.
Fear & Greed Index는 62를 기록하며 전일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탐욕 구간에 위치해 있고, VIX는 17.26(+1.83%)으로 상승 전환하며 일부 경계심리를 반영했습니다. 에너지 섹터는 유가 급등과 함께 강세를 보였고, 반면 애플·아마존 등 주요 기술주는 하락했습니다.
📚 오늘의 목차
📉 혼조 마감 속 CPI 경계감 반영 – 6월 11일 미국 증시 요약
2025년 6월 11일(화), 미국 증시는 주요 지수 모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예상치보다 하회한 CPI 발표와 미중 무역 합의에도 관망 심리가 유입되며, 장중 등락폭이 컸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0.50% 하락했고, S&P500도 소폭 조정을 받았습니다.
장 초반에는 일부 기술주 반등세가 나타났지만, 오후 들어 차익 매물이 유입되며 하락 전환했습니다. 다우 지수는 보합(-0.00%)으로 마감, 시장 전체는 변동성 확대 국면에 진입하기 전 정체 구간에 머문 모습입니다.
*관련기사
희토류 공급 합의·물가하락에도…나스닥 0.5% 빠져[월스트리트in]
5월 CPI 예상치 하회했지만…“폭풍 전 고요함”
희토류 선공급 합의했지만…대중 관세율은 55% 유지
美, 이라크 대사관 철수준비에…국제유가 4% 급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36800
희토류 공급 합의·물가하락에도…나스닥 0.5% 빠져[월스트리트in]
뉴욕증시는 최근 상승 랠리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뉴욕 3대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멈췄고, 대형 기술주 가운데 애플(-1.9%)이 낙폭을 주도했다. 투자자들은 미·중 무역 합의와 물가
n.news.naver.com
🧠 투자 심리 지표 – 탐욕 유지, 변동성은 다소 확대
Fear & Greed Index는 62로 전일(63)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탐욕(Greed)’ 구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 전반의 리스크 선호 분위기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금리 동결 기대와 경기 소프트랜딩 전망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VIX(변동성 지수)는 17.26로 전일 대비 +1.83% 상승하며 경계 심리를 일부 반영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20 이하의 안정 구간에 있으며, 향후 연준 점도표에 따라 추가 움직임이 예상됩니다.
📊 심리 지표 해석 – 낙관과 경계, 균형의 경로
현재 Fear & Greed Index는 62로, 한 달 전(62) 및 일주일 전(59)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 급락 이후 반등 과정에서 시장 심리가 일정 수준까지 회복되었으며, FOMC 이전까지 뚜렷한 방향성은 제한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VIX는 17.26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중립 구간 내 안정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 등을 앞둔 시점에서, 당분간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 주요 섹터 흐름 요약 – 기술주 전반 약세, 방어주·에너지 선방
6월 11일 미국 증시에서는 기술주 중심의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나스닥이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했습니다. 반면 방어적인 소비재, 에너지 업종은 상대적 강세를 보이며 시장 낙폭을 일부 방어했습니다. 특히 반도체·소비재 대형주는 조정을 받았고, 에너지·헬스케어·식품주는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 반도체: NVDA -0.79%, AMD -1.70%, INTC -6.34% 하락세 확대
- 소비재: AAPL -1.92%, AMZN -2.03%, HD -2.02% 대형주 중심 조정
- 에너지: XOM +1.95%, COP +2.39%, SLB +1.24% 유가 강세에 동반 상승
- 헬스케어: UNH +2.23%, ABBV +1.05%, ABT +0.86% 방어주 섹터 견조
- 통신: META -1.18%, TMUS -2.55%, GOOGL -0.70% 전반 약세
- 금융: JPM -0.17%, BAC -0.80%, BRK.B -0.61% 지지부진한 흐름
💼 BATMMAAN & M7 시황 정리 – 브로드컴 강세, 애플·아마존 조정
6월 11일 기준, BATMMAAN(M7)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브로드컴(AVGO)은 +3.38% 급등하며 기술주 내 강세를 보였고, 애플(AAPL)과 아마존(AMZN)은 각각 -1.92%, -2.03% 하락하며 낙폭이 컸습니다. 시총 순위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위, 엔비디아가 2위를 유지 중입니다.
- MSFT: +0.36% ⟶ 시총 1위 유지 ($3.51T)
- NVDA: -0.78% ⟶ 시총 2위 유지 ($3.48T)
- AAPL: -1.92% ⟶ 시총 3위, 주간 하락세 지속
- AMZN: -2.03% ⟶ 유통·AI 기대감 둔화
- GOOGL: -0.70% ⟶ 검색·클라우드 부문 안정
- META: -1.18% ⟶ 광고 부문 차익 실현
- AVGO: +3.38% ⟶ 반도체 중 상대 강세, 시총 8위
- TSLA: +0.10% ⟶ 로보택시 기대감 반영, 시총 11위
그외 관심 섹터
양자컴퓨팅 - 젠슨황의 양자컴퓨터관련 호의적인 발언에 관련주 급등했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307358
젠슨 황 한마디에 양자주 폭등, 퀀텀 25%-리게티 11%(종합)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양자컴이 변곡점을 맞았다”고 발언하자 월가의 대표적 양자컴 수혜주인 퀀텀 컴퓨팅(이하 퀀텀)이 25%, 리게티가 11% 각각 폭등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
n.news.naver.com
원전 - 오클로의 미공군과의 핵심계약 체결 소식과 트럼프 정부의 원전 활성화 정책 기대감으로 급등
https://www.tokenpost.kr/news/economy/256791
트럼프 원자력 밀어주자… 오클로(OKLO) 주가 28% 폭등 '사상 최고' - TokenPost
미국 핵에너지 스타트업 오클로(OKLO)의 주가가 폭등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미 공군과의 핵심 계약 체결 소식과 함께,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원자력 지원 행정명령 발표가 주가 상
www.tokenpost.kr
🔋 나스닥 100 선물 – 조정 흐름 속 박스권 상단 저항 확인
2025년 6월 11일 기준, 나스닥 100 선물(6월물)은 21,883.25pt로 -79.25pt(-0.36%) 하락 마감했습니다. 최근 급등 이후 박스권 상단(22,000선)에서 저항을 받으며 단기 조정 구간 진입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기술적 분석 기준으로는 21,800~22,000pt 구간에서의 매물벽이 재확인되고 있으며, 이 구간 돌파 실패 시 21,400선 지지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박스권 상단에서 정체 흐름이 이어질 경우, 단기 관망세 확대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다만 AI·반도체 업종에 대한 중장기 기대감은 여전하며, 이번 주 예정된 연준의 점도표 업데이트가 향후 방향성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원자재 시장 요약 – 천연가스 약세 지속, 금은 반등 전환
![]() |
![]() |
![]() |
![]() |
▲ 2025년 6월 11일 주요 원자재 선물 지수 추이, 출처 : Investing.com
- 금(Gold): 3,376.10달러 (+0.98%) ⟶ 미 CPI 발표 앞두고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유입
- 구리(Copper): 4.8068달러 (-1.90%) ⟶ 중국 수요 둔화 우려 지속, 기술적 이탈 압력
- 천연가스(NatGas): 3.519달러 (-0.40%) ⟶ 공급 과잉에 따른 하방 압력 재확인
- WTI 유가(Oil): 68.28달러 (+5.08%) ⟶ OPEC 감산 유지 기대 + 미국 원유 재고 감소 발표 영향
원자재 시장 전반은 유가 반등에 힘입어 에너지 섹터가 강세를 주도했으며, 금은 물가 변수 앞두고 다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구리와 천연가스는 수요 둔화와 공급 과잉에 따른 약세가 지속되며, 시장 전반적으로 위험 회피 심리가 약화된 가운데 이중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6월 11일 한국 증시 마감 및 6월 12일 전망 – 외국인 매수세 주도, IT 중심 강세
![]() |
![]() |
2025년 6월 11일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시세, 출처 : Finance.naver.com
6월 11일 한국 증시는 코스피는 2,907.04pt(+1.23%), 코스닥은 786.29pt(+1.96%)로 종가 기준 고점을 갱신했습니다.
외국인 순매수는 코스피 +1,661억 원, 코스닥 +2,072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기관도 동반 매수에 나서며 상승장을 주도했습니다. 개인은 양 시장에서 각각 3,663억 원 / 3,052억 원 규모로 차익 실현 매도에 나선 모습입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전장부품주, 원전주가 강세를 주도했으며, 프로그램 매매는 전체적으로 +275억 원 순매수가 유입되었습니다. 특히 코스닥은 게임·IT·엔터 중심으로 매수세가 확산됐습니다.
🔮 6월 12일 한국 증시 전망 – CPI 양호한 결과, 급등 피로감 관망 속 변동성 확대
최근 국내 증시는 새정부 출범이후 증시 활성화 정책과 정권 불확실성 해소로 인한 급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급 급등에 따른 장중 관망세와 수급 공백이 교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공포·탐욕지수는 여전히 탐욕(62) 구간이며, 나스닥 선물은 박스권 저항에서 조정을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추가 반등도 기대되지만, 차익 매물 유입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외국인 수급 지속 여부와 원화 강세 흐름, 미국 증시 야간선물 추이가 단기 방향성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투자 전략 요약
- 코스피: 2,900선 돌파 성공 여부 주목, 대형주 중심 탄력 확인 필요
- 코스닥: 외국인 매수세 유입 지속 여부에 따른 변동성 주의
- 주목 업종: 반도체, AI, 전장부품, 원전, 새정부 정책주
- 리스크 요인: 프로그램 매도 전환 가능성
결론적으로, 기술주 탄력과 외국인 수급이 단기 상승을 이끌고 있으나, 경계 매물 출회 가능성도 있습니다. 심리적 지지선 돌파 여부와 글로벌 매크로 흐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구간입니다.
✅ 요약 정리 (3줄)
- 6월 11일 코스피·코스닥 동반 상승, 외국인·기관 매수 주도
- 관망심리와 차익 매물 교차
- 기술주 탄력 유지 시 추가 상승 가능, 단기 리스크 모니터링 필요
💭 이 글을 읽고 떠오르는 누군가가 있다면, 📤 함께 공유해 보세요.
✨ 그리고 앞으로의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 공감 한 번,💬 댓글과 함께 ‘ 캐치로그-CatchLog ’을 📩 구독해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에 앞서 본인의 기준과 판단을 함께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 관련 글 링크 -
6월 10일 미국 증시 시황 – 나스닥 강세·테슬라 급등, 탐욕 심리 지속
6월 10일 미국 증시 시황 – 나스닥 강세·테슬라 급등, 탐욕 심리 지속
2025년 6월 10일 미국 증시는 다우, 나스닥, S&P500 지수 상승 마감했으며, 투자심리 지표인 Fear & Greed Index는 'Greed(탐욕)' 구간을 유지 중입니다. 한국 증시는 외국인 매수세 속 코스피·코스닥 지수
catchlog.lumiralog.com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12일 한국인의 미국 주식 보관 순위 – 테슬라, 팔란티어 상승세 (4) | 2025.06.15 |
---|---|
6월 13일 미국 증시 시황 – 중동분쟁으로 투심 악화, 한국 증시도 동반 약세 (6) | 2025.06.14 |
6월 10일 미국 증시 시황 – 나스닥 강세·테슬라 급등, 탐욕 심리 지속 (7) | 2025.06.11 |
미국 증시 마감 6월 9일 – 테슬라 급등·기술주 혼조…‘탐욕 심리’ 여전 (4) | 2025.06.10 |
2025년 6월 5일 기준 – 한국인이 가장 많이 보유한 미국 주식 TOP10 및 순위 변화 (3)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