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일(월),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혼조 흐름에서 회복되었습니다. 나스닥은 +0.67%로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고, S&P500은 +0.41%, 다우는 +0.08% 상승 마감했습니다. 심리 지표 역시 상승하면서 시장 낙관심리가 더욱 강화된 하루였습니다.
📈 기술주 주도 상승 – 6월 2일 미국 증시 요약
2025년 6월 2일(월), 미국 증시는 기술주의 견조한 흐름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은 +0.67%, S&P500은 +0.41%, 다우는 +0.08% 오르며 하루를 마무리했습니다. 전반적으로 AI·IT 대형주의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다우: +35.41pt (+0.08%) → 42,305.5
- 나스닥: +128.85pt (+0.67%) → 19,242.6
- S&P500: +24.25pt (+0.41%) → 5,935.9
📰 주요 시황 관련 기사 요약
1. Nasdaq rises as investors bet on AI momentum – AI 기대감 속 나스닥 반등
최근 조정을 겪었던 엔비디아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술주가 반등하면서 나스닥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AI 인프라 확대 기대감이 지속되며, 시장은 기술주에 다시 매수세를 실었습니다.
2. Fed speaks cautiously on rate cuts – 연준 관계자들, 금리 인하 신중론 유지
연준(Fed)의 일부 인사들이 "데이터 기반 판단"을 강조하며 금리 인하에 대해 유보적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국채금리는 혼조세를 보였고, 증시는 오히려 확정성보다는 기술주 실적 기대에 반응했습니다. CNBC 기사 보기
📊 투자 심리 지표 – 탐욕 심리 지속, 변동성은 안정권
Fear & Greed Index 63 + VIX 18.36 조합은 현재의 미국 증시가 여전히 낙관적인 심리 상태에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들은 대체로 위험 자산 선호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기술주 강세 흐름이 심리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나친 탐욕은 조정의 전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과열에 대한 리스크 관리는 여전히 병행해야 합니다.
🔸 Fear & Greed Index: 63 (Greed)
전일(61) 대비 상승하며 다시 '탐욕(Greed)' 수치가 확대되었습니다. 1주일 전과 같은 수준으로 시장 심리는 전반적으로 위험 선호에 기울어 있습니다.
🔸 VIX (변동성 지수): 18.36 (-1.13%)
연중 최저 수준 근처를 유지 중인 변동성 지수는 시장 불안 요인이 크지 않음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금리보다는 실적과 산업 트렌드에 초점을 두는 양상입니다.
🔍 주요 섹터 흐름 요약
6월 2일 미국 증시에서는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메타(+3.62%)와 브로드컴(+2.74%)이 상승을 주도하며, 반도체·AI·헬스케어 업종 중심의 매수세가 활발했습니다.
- 반도체: NVDA +1.67%, AMD +3.52%, MU +3.94% 등 전반적 상승세
- 기술 인프라: MSFT +0.35%, ORCL +0.63%, PLTR +0.20% 등 안정적 흐름
- 커뮤니케이션: META +3.62% 급등, GOOGL -1.58%는 하락
- 헬스케어: LLY +1.28%, UNH +1.00%, MRK -0.77% 등 혼조세
- 소비재: AMZN +0.80%, WMT +1.06% 등 소비 관련주 강세
💼 BATMMAAN & M7 시황 정리
6월 2일 미국 증시에서 BATMMAAN(브로드컴, 애플,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알파벳, 엔비디아) 주요 기업들이 대체로 강세를 보이며 시총 순위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 MSFT: +0.35% → 시총 1위 유지
- NVDA: +1.67% → 시총 2위 유지, 반도체 수요 기대감 지속
- AAPL: +0.42% → 시총 3.01조 달러
- AMZN: +0.80% → 소비 회복 기대 반영
- GOOGL: -1.43% → 광고 부문 둔화 우려
- META: +3.62% → AI 관련 호재, 투자 확대 기대감
메타 플랫폼스(META)는 2026년 말까지 인공지능(AI) 기반 완전 자동화 광고 제작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임을 발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기업이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예산만 설정하면, 메타의 AI가 자동으로 시각 자료, 비디오, 광고 문구를 생성하고, 타깃 오디언스를 선정하며 예산 조정까지 추천하는 등 광고 전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 AVGO: +2.74% → 시총 8위 유지, 고성능 반도체 공급 이슈 부각
시티 애널리스트들은 월요일 브로드컴(NASDAQ: AVGO) 주식의 목표 주가를 210달러에서 276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등급을 유지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브로드컴이 컨센서스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2025 회계연도 매출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회사의 AI 부문의 강력한 실적에 기인합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 TSLA: -1.09% →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 지속
메타와 브로드컴이 BATMMAAN 내에서 가장 돋보이는 상승세를 보였으며, 테슬라와 구글은 단기 악재에 따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나스닥 100 선물 – 고점 부근 숨 고르기, 단기 박스권 상단 저항 지속
2025년 6월 2일 기준, 나스닥 100 선물(6월물)은 21,523.25pt로 -0.05% 소폭 조정을 보였습니다. 전일 대비 약보합권에서 마감하며 22,000pt 부근에서의 강한 저항이 재확인되는 모습입니다.
기술주 중심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점 부담과 외부 이벤트 대기 심리로 인해 뚜렷한 돌파는 제한되고 있습니다.
21,300~21,500pt 구간은 여전히 박스권 상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명확히 돌파하지 못하면 단기 조정 및 이익 실현 구간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AI·반도체 업종의 모멘텀과 경제지표 발표 일정이 시장에 방향성을 줄 수 있는 변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원자재 시장 요약 – 금 상승 전환, 구리·에너지 혼조
![]() |
![]() |
![]() |
![]() |
2025년 6월 2일 주요 원자재 선물 지수 흐름, 출처: Investing.com
- 금 선물 (8월물): 3,414.56달러 (+0.24%) – 미 국채금리 약세와 함께 안전자산 수요 확대.
- 구리 선물 (7월물): 4.8498달러 (-0.17%) – 단기 차익 매물 출회, 수요 둔화 우려 재부각.
- 천연가스 선물 (7월물): 3.739달러 (-0.21%) – 유럽 재고 증가와 공급 회복 기대감 영향.
- WTI유 선물 (7월물): 63.12달러 (+0.14%) – 사우디 감산 연장 관측과 미국 소비 회복 기대.
전반적으로 에너지 원자재는 혼조세를 보였으며, 금은 안전자산 선호 흐름에 힘입어 소폭 상승 전환했습니다. 구리와 천연가스는 차익 매물 및 수급 요인으로 다소 약세를 보였습니다.
🇰🇷 6월 2일 한국 증시 마감 및 6월 4일 전망 – 외국인·기관 동시 매수, 코스닥 주도 반등
![]() |
![]() |
2025년 6월 2일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요약, 출처: 네이버 금융
6월 2일 한국 증시는 혼조 출발 이후 장중 낙폭을 줄이며 보합권에서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0.05% 상승한 2,698.97pt, 코스닥은 +0.81% 오른 740.29pt로 강세 마감했습니다. 코스닥은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흐름이 주목받았습니다.
수급 측면에서는 코스피는 외국인 +1,250억 원, 개인 +982억 원 순매수였으며, 기관은 -2,415억 원 순매도를 보였습니다. 코스닥은 외국인 +1,117억 원, 기관 +170억 원 순매수, 개인은 매도 우위로 마감됐습니다.
프로그램 매매는 전체적으로 -1,168억 원 순매도였으며, 차익 거래는 소폭 -120억 원, 비차익은 -1,048억 원이 집계되었습니다.
🔮 6월 4일 한국 증시 전망 – 기술주 반등 모멘텀 유지, 수급 흐름 주목
전일 미국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고, 나스닥은 +0.67%, S&P500은 +0.41%, 다우는 +0.08% 상승하며 전반적인 리스크 선호 심리를 보여줬습니다.
Fear & Greed Index는 63으로 다시 상승했으며, VIX는 18.36로 안정권 유지 중입니다. 전반적으로 시장 심리는 안정적이나, 기술주에 대한 조정 경계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 투자 전략 요약
- 코스피: 2,700선 전후에서 매물 소화 과정, 낙폭 제한적
- 코스닥: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기반의 추가 상승 가능성
- 주목 업종: AI·반도체·콘텐츠주 반등 탄력 유지 여부 확인
- 리스크 요인: 외국인 순매도 전환 여부, 환율 재상승 여부
종합적으로 6월 4일 한국 증시는 글로벌 기술주 반등 흐름과 외국인 수급 유입에 따라 강보합 출발 가능성이 높으며, 코스닥 중심의 매수세 지속 여부가 당일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 요약 정리 (3줄)
- 6월 2일 한국 증시는 코스닥 중심으로 반등 마감.
- 미국 증시 상승과 투자심리 지표 안정이 긍정적 신호.
- 6월 4일 한국장은 기술주 중심 강보합 흐름 전망.
💭 이 글을 읽고 떠오르는 누군가가 있다면, 📤 함께 공유해 보세요.
✨ 그리고 앞으로의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 공감 한 번,💬 댓글과 함께 ‘ 캐치로그-CatchLog ’을 📩 구독해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에 앞서 본인의 기준과 판단을 함께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 관련 글 링크 -
2025.5.30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혼조·심리 낙관 유지, 한국 증시 전망은?
2025.5.30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혼조·심리 낙관 유지, 한국 증시 전망은?
2025년 5월 30일 미국 증시는 나스닥 하락과 다우 상승이 혼조세를 보였고, Fear & Greed Index는 62, VIX는 18.57로 심리적 낙관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2025년 5월 30일 금요일, 미국 증시는 나스닥 약세와 다
catchlog.lumiralog.com
2025년 6월 첫째 주 미국 증시 일정 및 주요 실적 발표 총정리
2025년 6월 첫째 주 미국 증시 일정 및 주요 실적 발표 총정리
안녕하세요 2025년 6월 첫째 주(현지 시간 6월 1일~6월 6일) 미국 증시의 핵심 일정, 주요 경제지표, 그리고 주목해야 할 기업 실적 발표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이번 주는 제조업 PMI, 서비스업 PMI
catchlog.lumiralog.com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산 미국 주식 TOP10 (2025.5.29) – 상승·하락 종목까지 한눈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산 미국 주식 TOP10 (2025.5.29) – 상승·하락 종목까지 한눈에
2025년 5월 기준 한국인이 보유한 미국 주식 보관금액은 121.1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 상위 종목은 순위를 유지했으며, 양자컴퓨팅과 비트코인 관련
catchlog.lumiralog.com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4일 미국 증시 혼조 · 코스피 2,770 돌파 – 기술주 중심 반등세 (5) | 2025.06.05 |
---|---|
6월 3일 미국 증시 – 나스닥·엔비디아 반등, AI 기대 속 기술주 랠리 재개 (4) | 2025.06.04 |
2025년 6월 첫째 주 미국 증시 일정 및 주요 실적 발표 총정리 (3) | 2025.06.02 |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산 미국 주식 TOP10 (2025.5.29) – 상승·하락 종목까지 한눈에 (3) | 2025.06.01 |
2025.5.30 미국 증시 마감 – 기술주 혼조·심리 낙관 유지, 한국 증시 전망은? (1) | 2025.05.31 |